CentOS 리눅스를 설치하기 위해 먼저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꽤 용량이 큰 파일이기 때문에 설치 도중 문제가 생기지 않았는지 파일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준다.
파일 이상 여부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이 체크섬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HA-256을 제외한 나머지는 확인할 필요 없음
체크가 완료되었으면 VMware Player를 실행하여 우리가 만든 가상머신 중 하나를 선택한 뒤,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버튼을 클릭하여 아래 화면으로 이동한다.
위 화면에서 왼쪽에 보면 CD/DVD(IDE) 장치가 'Auto detect'로 되어있는데, 이 부분을 우리가 위에서 다운로드 한 ISO 파일로 변경해주면 된다.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한 뒤, 아래 화면과 같이 'Connection' 메뉴에서 'Use ISO Image file'을 선택하고, 위에서 다운로드한 CentOS 8 ISO 파일을 지정해주자
설정을 완료했으면 해당 서버를 실행시켜 아래 화면으로 이동한다.
현재 기본 설정이 'Test this media & install CentOS Linux 8.0.1905' 방식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우리가 설치한 ISO 파일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방식이다.
다만 우리는 이미 위에서 체크섬 프로그램을 통해 체크를 하고 온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선택하지 않고 그 위의 설정인 'Install CentOS Linux 8.0.1905' 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후 설치를 위한 화면에서 언어 및 시간을 알맞게 설정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이더넷 설정을 '켬'으로 바꾸어준다(ens160은 리눅스의 랜카드 이름으로, 자주 사용하는 용어이니 잘 알아두도록 하자).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선택에서 기본 환경을 '워크스테이션'으로 변경해준다.
기본 값인 '서버 - GUI 사용'을 선택할 시 나중에 추가 설치해야할 것이 생길 수 있음
다음으로 설치 목적지를 아래와 같이 설정해준다.
디스크 선택 후 저장소 구성을 Custom으로 변경
이어지는 화면에서 마운트 지점을 추가하기 위해 'LVM'에서 '표준 파티션'으로 드롭다운 메뉴를 변경한 후 아래의 '+' 버튼을 클릭하여 다음과 같은 화면을 띄운 뒤, 마운트 지점은 'swap'로 원하는 능력은 '4G'로 설정해준다.
이는 쉽게 말하면 전체 디스크 용량(80GB)중에서 4GB를 임시 메모리 공간으로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마운트 지점 추가
다음으로는 Windows의 C드라이브와 비슷한 개념인 루트 파티션(슬래쉬 파티션)을 추가한다.
마운트 지점을 '/'로 지정하고 용량은 따로 적어주지 않는다(위에서 추가한 4GB를 제외한 나머지 용량이 자동으로 설정됨).
당연한 얘기지만 지금은 가상머신 안에서 포맷팅하는 것이기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와는 전혀 상관이 없고 영향도 받지 않는다.
모든 설정을 완료했으니 '설치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하자.
이제 설치와 동시에 사용자 설정을 수행해야 한다.
아래 화면에서 'Root 암호'를 클릭하여 사용자 암호를 설정하자
또한 바로 아래 버튼인 'User Creation'을 통해 반드시 루트 외의 한 명의 일반 사용자를 생성해주어야 한다.
간단하게 생성해주고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주자
설치가 완료되면 오른쪽 아래의 재부팅 버튼을 클릭하여 재부팅을 수행한다.
📝 CentOS 시스템 설정
아직 몇 가지 설정을 추가로 해야한다.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일텐데, 우선 시스템 설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일반 사용자가 아닌 루트 사용자로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아래 화면에서 '목록에 없습니까?'를 클릭하고, 사용자 이름에 'root'를 입력한 뒤 위에서 설정한 사용자 암호를 입력하여 접속해준다.
접속이 완료되었다면 얼마 후에 아래와 같은 그놈(GNOME) 화면이 띄워질 것이다.
해당 화면에서 한국어 -> 한국어 (Hangul) -> 켬 -> 건너뛰기 순으로 설정을 완료한다.
GNOME
이제 원활한 학습을 위한 설정을 몇 가지 수행한다.
오른쪽 위의 드롭다운 메뉴를 선택하고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설정 화면을 띄워주자
해당 화면에서 장치 -> 디스플레이 탭으로 이동하여 해상도를 1024 x 768(4:3)로 설정해준다.
위 설정만 수행할 시 재부팅했을 때 해상도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추가로 터미널 환경에서 'gedit /etc/grub.d/10_linux' 명령어를 입력하고 169행의 끝에 "vga=773"을 추가로 입력해준 뒤 저장해주었음. 여기서 773이란 1024 x 768(4:3) 해상도를 의미함 위 과정을 수행한 뒤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명령어를 추가로 입력하여 설정을 완료
다음으로는 개인정보 탭으로 이동하여 화면 잠금 옵션을 모두 꺼준다.
추가로 전원 탭으로 이동하여 절전 옵션을 사용 안함으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지역 및 언어 탭으로 이동하여 입력 소스 메뉴의 '한국어'를 제거해준다.
한글과 영문은 'Shift + Space' 키를 이용하여 스위칭하며 사용할 수 있다.
한국어 (Hangul)만 남도록
다음으로 앞으로 사용할 방화벽 기능을 미리 설치하기 위해 왼쪽 상단의 현재 활동 -> 터미널 창을 열어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dnf -y install firewall-config 명령어를 통해 방화벽 기능 설치가 완료된 모습
이후 재부팅을 수행하여 해상도 및 모든 설정이 잘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
추가로 운영체제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해당 가상머신의 CD/DVD 장치 설정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준다.
운영체제 설치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필요 없음
📝 스냅숏 설정
다음으로 스냅숏 설정을 위해 VMware Pro를 실행하여 'Open a Virtual Machine' 버튼을 클릭해 가상머신을 선택한다.
이후 열린 가상머신 창에서 왼쪽 상단 탭의 VM -> Snapshot -> Snapshot Manager로 이동하여 아래와 같은 창을 띄운다.
현재는 아무것도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위 화면에서 'Take Snapshot' 버튼을 클릭하여 이름을 지정한 뒤 저장하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스냅샷이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앞으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문제가 생길 시 해당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는 것이다.
📝 Server(B) 가상머신 운영체제 설치
이어서 Server(B) 가상머신에 운영체제를 설치해보도록 하자
Server 가상머신과 마찬가지로 가상 머신 설정 화면으로 들어가 CD/DVD 장치의 Connection 메뉴를 우리가 설치한 ISO 파일로 지정해준다.
이후 부팅을 수행하여 Server 가상머신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한다.
다만 이번에는 소프트웨어 선택 카테고리에서 'Minimal Install'을 선택해준다. 즉, 어떤 GUI도 없이 부팅되는 수준으로만 설치하겠다는 의미이다.
이후 사용자 설정까지 Server 가상머신과 동일하게 해주고 설치를 완료한다.
설치를 완료했다면 해당 가상머신을 실행시킨 후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한뒤, Minimal Install 옵션으로 인해 제외된 추가로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로그인 후 패키지 다운중
이후 Server 가상머신과 동일하게 해상도 설정 및 보안 설정을 해주고 재부팅한 뒤, 설정이 완료된 것을 확인했으며 'halt -p'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제 다시 VMware Player을 실행시켜 Server(B) 가상머신의 메모리 설정을 아래와 같이 바꾸어준다.
텍스트 서버이므로 메모리 사용량이 많지 않음
추가적으로 Server 가상머신과 마찬가지로 CD/DVD 장치의 설정을 아래와 같이 수정해주고 설정을 완료한다.
마지막으로 VMware Pro를 실행하여 역시 Server 가상머신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스냅샷을 저장해준다.
📝 Client 가상머신 운영체제 설치
Client 가상머신의 운영체제 설치과정 역시 Server 가상머신과 거의 비슷하다.
동일한 과정을 통해 설치를 진행하는데 다만 차이가 있다면 Client 가상머신의 경우 따로 파티션을 나눌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스크 저장소 구성을 오토메틱으로 설정해준다.
또한 Client 가상머신의 경우 루트 사용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만 접속하도록 하기 위해 CentOS 터미널 창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gedit /etc/pam.d/gdm-password
이후 열린 창에서 비어있는 5번째 줄에 아래와 같은 문구를 입력한다.
이후 'reboot' 명령어를 통해 재부팅한 후, 루트 사용자로 접속해보면 다음과 같이 접속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현재 가상머신인 Client는 접속할 때마다 사용자 로그인 없이 자동 로그인 되도록 설정해주자
왼쪽 상단의 현재 활동 -> 터미널 창으로 들어가 명령어 'su'를 입력하고 암호를 입력한다.
여기서 'su'란 'super user'의 약자로 루트 사용자로 로그인하여 시스템 권한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적으로 로그인 되었다면 '$' 부분이 루트 사용자를 의미하는 '#'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파일을 연다.
파일을 열고 'a'키를 이용하여 INSERT 모드로 전환한 뒤 [demon] 아래에 두 개의 문장을 추가해준다.
이후 'Esc'키를 통해 INSERT 모드를 종료하고 ':wq'를 입력하여 파일을 저장한 뒤 닫는다.
이후 'reboot' 명령어를 통해 재부팅을 수행하여 자동 로그인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동일하게 메모리 설정(1.5GB) 및 CD/DVD 장치 설정을 마치고 스냅샷을 저장해준다.
📝 WinClient 가상머신 운영체제 설치
먼저 Windows 설치를 위해 Windows 10 평가판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주자
이후 동일하게 가상머신 설정 화면에서 CD/DVD 장치의 설정을 진행한다.
참고로 설치를 조금 더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사용량을 임시로 2GB로 늘려주었음
이후 가상머신을 실행하여 운영체제 설치를 진행한다.
설치를 완료한 후에 보면 Linux 운영체제와 다르게 마우스 포인터가 자연스럽게 호스트 OS 쪽으로 전환되지 않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수정하기 위해 VMware Tools를 다운로드 받는다.
왼쪽 상단의 Player -> Manage -> Install VMware Tools 메뉴를 통해 설치를 진행한다.
이미 설치되어 있는 모습
이후 드라이브로 이동하여 '내 PC'의 'DVD 드라이브 (D:) VMware Tools'를 통해 설치 파일을 실행시킨다.
설치 과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재부팅되며 마우스 포인터가 호스트 OS와 게스트 OS를 자연스럽게 넘나드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모리 설정 및 CD/DVD 설정을 마친 후, 스냅샷을 저장해주면 모든 가상머신의 운영체제 설치가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