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DE 장치와 SCSI 장치의 구성
- 하드디스크를 물리적으로는 /dev/sda, /dev/sdb, /dev/sdc, ... 형식으로 부름
- 디스크 파티션이 나눠진 것을 논리적으로는 /dev/sda1, /dev/sda2, /dev/sda3, /dev/sdb1, /dev/sdb2, ... 형식으로 부름
📝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 장착된 디스크의 이름은 /dev/sdb
- 논리적인 파티션의 이름은 /dev/sdb1
- 파티션을 그냥 사용할 수 없으며 반드시 특정한 디렉터리에 마운트 시켜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장착
- Server 가상머신 ->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 'Add' -> 'Hard Disk' -> 'SCSI' -> 'Create a new virtual disk'
- 위 과정을 통해 가상머신에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한다.
- 하드디스크 용량은 실습에 용이하도록 1GB로 설정해주었으며, 이름은 기본값을 사용하였다.
📜 파티셔닝
- 다음으로는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수행해주어야 한다.
- 참고로 해당 실습에서는 해당 하드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설정해줄 것이다.
- 먼저 하드디스크가 추가된 것을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다.
- 위 출력 결과를 보면 Server 가상머신 생성과 동시에 추가했던 하드디스크(
/dev/sda
)외에/dev/sdb
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다만 아직 파티셔닝 되지 않아
/dev/sdb1
과 같은 목록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dev/sdb를 파티셔닝하기 위한 명령어는
fdisk
이다. - 해당 명령어는
fdisk [파티셔닝 할 디스크]
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ex) #
fdisk /dev/sdb
- ex) #
- 위 화면과 같이 fdisk로 들어온 다음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
n
(new)을 입력한다.
- 이때 파티션의 종류를 선택해야 하는데 하나는 주 파티션(primary), 다른 하나는 확장 파티션(extended)이다.
- 우리는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p
를 입력한 후 파티션 번호는 기본값으로 설정한다.
- 이후에는 파티션 범위를 설정하라고 나오는데, 역시 우리는 전체 디스크를 파티션 할 것이므로 처음(2048)부터 끝까지(2097151) 파티셔닝하도록 설정해주면 된다.
- 방금 만든 파티션을 확인하기 위해
p
를 입력해보았다.
- 아직 파티셔닝이 완성된 것은 아니며 현재까지는 계획만 한 것이다.
- 파티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w
(write)를 입력한다.
📜 파티션 포맷
- 다음으로는 생성한 파티션을 포맷해주어야 한다.
- 여기서 포맷이란 해당 파티션을 어떠한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파티션 포맷을 위한 명령어는
mkfs
이며 이를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이렇게 포맷까지 완료했다면 다음으로 해당 디스크를 실제 사용하기 위해 마운트 시켜주어야 한다.
# mkfs.ext4 /dev/sda1
📜 마운트
- 윈도우의 경우 새로운 하드디스크가 추가되면 C드라이브, D드라이브와 같이 분리되어 할당되지만, 리눅스의 경우 모든 드라이브가 슬래쉬(/) 파티션에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슬래쉬 파티션에서 새로 추가된 하드디스크 방향으로 연결해주어야 하며, 이것이 마운트의 개념이다.
- 따라서 계획상
/mydata
라는 폴더에 마운트하기 위해 해당 폴더를 생성해주고 마운트하였다.
# mkdir /mydata
# mount /dev/sdb1 /mydata
- 이후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마운트 목록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맨 끝에 목록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재부팅시 마운트가 해제되지 않도록 해당 마운트 정보를
/etc/fstab
에 등록해준다. - 아래 명령어를 통해
fstab
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이 수정해준다.
# vi /etc/fstab
/dev/sdb1 /mydata ext4 defaults 0 0
의 의미/dev/sdb1
: 파티션 이름/mydata
: 마운트 디렉터리ext4
: 파티션 타입defaults
: 예약어0 0
: 앞의 0은 덤프(= 백업), 뒤의 0은 재부팅 시의 디스크 체크 여부를 의미- 0: 사용 안함
- 1, 2: 사용, 각 숫자는 우선순위를 나타냄
'🐧 Linux > 이것이 리눅스다(CentOS 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리눅스다(CentOS 8)] 06장. 하드디스크 관리와 사용자별 공간 할당(3) (0) | 2023.04.01 |
---|---|
[이것이 리눅스다(CentOS 8)] 06장. 하드디스크 관리와 사용자별 공간 할당(2) (0) | 2023.03.31 |
[이것이 리눅스다(CentOS 8)] 04장. 필수개념과 명령어(4) (0) | 2023.03.28 |
[이것이 리눅스다(CentOS 8)] 04장. 필수개념과 명령어(3) (0) | 2023.03.27 |
[이것이 리눅스다(CentOS 8)] 04장. 필수개념과 명령어(2) (0) | 2023.03.26 |